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Air Table
- BFS
- 고속 푸리에 변환
- 생활코딩
- CI/CD
- 이분탐색
- Cloud Run
- Cloud Pub/Sub
- ICPC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수학
- 시뮬레이션
- jpa
- 데이터 분석
- 컴퓨터 구조
- 접미사 배열
- dp
- REACT
- 종만북
- 백준 1753번
- Bit
- LCS
- 다익스트라
- 우선순위 큐
- 펜윅 트리
- 삼성SW역량테스트
- r
- 그리디
- JavaScript
- 삼성 SW 역량테스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프록시 (1)
코딩스토리
프록시를 사용한 즉시 로딩, 지연 로딩
#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및 교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프록시 프록시란 가짜를 의미한다. JPA 뿐만 아니라 프록시 서버, 프록시 객체, Spring의 싱글톤에서의 CGLIB 등 여러 방면에서 프록시란 용어가 사용된다. JPA에서의 프록시란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미루는 프록시 엔티티 객체를 말한다. JPA에서는 왜 프록시를 사용할까?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Member라는 클래스와 Team이라는 클래스가 아래와 같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Member 객체는 Team값을 참조하고 있다. 즉 Member 테이블은 FK 값으로 team_id를 가지고 있고, JPA에서 Member 클래스를 find 할 때 DB의..
Spring/JPA
2022. 4. 28.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