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CPC
- jpa
- 백준 1753번
- LCS
- 시뮬레이션
- 펜윅 트리
- 데이터 분석
- 생활코딩
- Bit
- 이분탐색
- 접미사 배열
- 삼성 SW 역량테스트
- 다익스트라
- 그리디
- 삼성SW역량테스트
- 컴퓨터 구조
- Air Table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종만북
- 고속 푸리에 변환
- Cloud Run
- REACT
- BFS
- dp
- Cloud Pub/Sub
- 수학
- r
- CI/CD
- JavaScript
- 우선순위 큐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3)
코딩스토리
# 이 글은 책 "Do it! 클론 코딩 영화 평점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웹 계획표에도 써 놓았듯이 실전으로 부딪혀 보자는 마인드로 구글링을 해보니 클론 코딩이란 좋은 방법이 있었다. 그렇기에 강의, 책을 찾아보던 중 이 책을 찾게 되었고, 망설임 없이 바로 서점으로 가서 샀다. JavaScript를 얕게 공부한 나로써는 힘들 수 있겠지만 일단 해보고 어떤 걸 더 공부해야 할지 방향을 잡을 예정이다. 근데 일단 JS가 문제가 아니고 갑자기 React 가 나오네..? 원래는 클론 코딩은 git hub만 남길려고 했지만 그래도 새로운 것에 발을 담구는 과정이므로 포스팅도 남겨놓으려 한다. (모든 과정을 남기진 않겠지만 필요한 부분은 남겨볼 예정) 그럼 이제 제목처럼 React 기초 개념에 대해..
# 이 글을 "Do it!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데이터 프레임 열 (column) = 속성, value 행 (row) = 정보, case 데이터가 크다 = 행이 많다 or 열이 많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입장에서는 열이 많은 것이 더 중요! Why? 행이 늘어난다 -> 단순히 정보만 늘어난다. 즉 연산 시간만 길어진다. 열이 늘어난다 -> 열이 많아지면 변수가 많아짐 = 조합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늘어남 데이터 분석은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해야 하는데 조합이 늘어난다는 것은 적용하는 분석 기술 고급화 이제 R 스튜디오에서 직접 데이터 프레임을 만들어보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 학생 4명의 영어점수 english
# 이 글을 "Do it!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정리) R은 최근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언어이다. 데이터 분석 도구에는 GUI 방식과 프로그래밍 방식이 있는데 R은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까지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변수 생성 R에서는 변수를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var1
이번 방학때 모든 분야에 발을 담궈보자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에 (발 끝이라도, 발가락 끝이라도 시도해봐야지 진로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Web 관련 책을 사러 가서 데이터 분석 책도 샀었는데 계절학기 + 나태한 나의 마음가짐 + 귀차니즘 등등 수만가지 이유로 공부 시작을 미뤄오다 오늘에서야 계획을 세우고 공부를 시작했다. 사실 내가 가장 해보고 싶었던 분야갸 빅데이터 쪽이기 때문에 책을 펴는데 설렜던 적은 처음이였다 ㅎㅎ 앞으로 공부할 때마다 이곳에다 정리할 예정이다. 1. Do it!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 2주 집중 코스로 공부 1일차 - 1.22 fin 2일차 - 1.24 fin 3일차 - 1.26 fin 4일차 - 1.27 fin 5일차 - 1.28 fin 6일차 - 1.30 fi..
www.acmicpc.net/problem/4811 4811번: 알약 입력은 최대 1000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이며, 병에 들어있는 약의 개수 N ≤ 30 가 주어진다.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하나 주어진다. www.acmicpc.net 오랜만에 정말 오랫동안 고민한 문제다. 물론 새벽이라 피곤했다는 핑계가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오래 고민하는 습관을 버리려고 노력했는데 실패.. 도저히 떠오르지가 않아서 구글링을 해보았다. 더 놀라운건 구글링을 한 페이지 가까이했는데도 이해가 잘 안 간다........ㅠ 너무나도 길고 복잡한 재귀 코드들... 난 이해하고 싶지 않았다 (제가 구글링을 하면서 느낀 건데 코드가 간단할수록 이해하기 좋더라고요.. 그래서 스포?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