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CS
- REACT
- Cloud Pub/Sub
- 다익스트라
- 삼성SW역량테스트
- 그리디
- ICPC
- Bit
- Air Table
- 종만북
- CI/CD
- 고속 푸리에 변환
- 우선순위 큐
- 백준 1753번
- jpa
- 수학
- Cloud Run
- dp
- BFS
- 컴퓨터 구조
- 펜윅 트리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r
- 데이터 분석
- JavaScript
- 접미사 배열
- 삼성 SW 역량테스트
- 이분탐색
- 시뮬레이션
- 생활코딩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3)
코딩스토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Uqju/btqSmBAvoSI/KTH8XZYdhGwyV3b3yZG78K/img.png)
# 이 글은 생활코딩 Web1-HTML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위 사진만큼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잘 설명하는게 없는것 같다. Web Browser는 Web Server에 정보를 요청한다. Web Server는 요청받은 정보를 Web Browser로 넘겨준다. 이를 고객과 서버라는 차원에서 아래와 같이 표현했다. 요청하는 컴퓨터 : Client Computer, 즉 고객 응답하는 컴퓨터 : Server Computer 단순한 Web 에서만이 아니라 game, chatting 등 여러 분야에서도 똑같다. Game Browser Game Server Chatting Browser Chatting Server 여기서도 폰노이만이 잠깐 등장하는데 누군가 폰노이만에게 수학을 어떻게 해야 ..
# 이 글은 생활코딩 Web1-HTML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Web의 기초중에 기초, HTML을 공부했다. 사실 HTML을 처음 접하는 것은 아니고, 작년?(오늘이 1월 2일이니까 작년이라고 하는게 맞겠네..)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학과 홈페이지를 재구축하는 일을 했었었다. 그때 당시에 HTML을 하나도 몰랐어서 부랴부랴 공부해서 갔었던 기억이 있는데 그 덕분에 기본적인 내용은 알고 있었다. 생활코딩 강좌의 장점은 확실히 짧고 이해하기 좋다는 점 같다. 복습하는 느낌이기도 하고 책만 보고 공부했었던 나로서는 생각보다 재밌었다. 간단하게 정리해보자면 1. HTML은 태그가 중요하다! 2. 태그들의 제왕, 링크를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도인것 같다. 내가 이 글에 태그를 일일이 설명하는 것은 ..
개요 이번 방학에 Web 공부를 해보려고 열심히 찾아보았다. UDACITY Full-Stack-Foundation 강의도 무료로 지원해 준다길래 신청해서 봤는데 아직 내 수준은 아닌것 같고.. 내가 주워주워 들은 바로는 Node.js가 뜨고 있다고 해서 찾아봤는데 Node.js를 다루려면 JavaScript를 다룰 수 있어야 된다고 한다. 난 JavaScript가 Java를 기반한 toolkit인줄 알았는데 완전 잘못알고 있었다.. (너무 멍청했고) JavaScript는 언어이다. 열심히 구글링 해본 결과 JavaScript를 공부하려면 html과 CSS를 공부하고 넘어가는게 좋다고 해서 (생코에서 그랬음!!) 그렇게 따라가보려고 한다. 내가 Web을 전공으로 살릴 생각은 크게 없기 때문에 쉬운 생활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yJK4/btqSjAVzGWs/7qDZg64QbhfvsIJR3GKbM1/img.png)
www.acmicpc.net/problem/1005 1005번: ACM Craft 첫째 줄에는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첫째 줄에 건물의 개수 N 과 건물간의 건설순서규칙의 총 개수 K이 주어진다. (건물의 번호는 1번부 www.acmicpc.net 옛날부터 이문제 한번 풀어보고 싶었는데 골드 3에 dp라 뭔가 엄청 어려울 것 같아서 못풀었었다. 오늘 날잡고 어떻게든 한번 풀어보자 하고 풀어봤다. 처음 문제를 봤을때 재귀가 떠올랐다. 이런 문제의 경우 dfs라고 하는게 맞겠지만.. 분명 dp와 재귀를 통해 풀 수 있을것 같은데 이게 맞을까 싶어서, 해결법이 맞는지를 한참 고민했다. 아무리 봐도 다른 방법은 떠오르지 않아서 그냥 풀었는데 다행히 맞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s81G/btqRXHvM5QU/Fu5JDPYO22KEkeEHsz2Tbk/img.png)
www.acmicpc.net/problem/2056 2056번: 작업 수행해야 할 작업 N개 (3 ≤ N ≤ 10000)가 있다. 각각의 작업마다 걸리는 시간(1 ≤ 시간 ≤ 100)이 정수로 주어진다. 몇몇 작업들 사이에는 선행 관계라는 게 있어서,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www.acmicpc.net 기초적인 DP 문제였다. 인접리스트를 사용하는게 해결 방법이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int main() { ios_..